일상

청년도약적금 만기와 찻잔 속 청개구리의 원대한 자금계획

찻잔속청개구리 2024. 2. 29. 21:00
반응형

이번 달에 드디어 청년희망적금이 만기되었다.

2년이 길게 느껴졌는데, 수중에 1300만 원이 들어오니 이걸 어떻게 굴려야할지 고민이 많았다.

 

일단은 매달 50만 원씩 적금하던 습관을 이어나가고자 도약계좌에 가입하긴 했다.

일시납은 5년동안 묶기에 너무 리스크가 크고, 최종적인 만기는 월납입과 같다길래 하지 않았다.

그래서 월납입 70만원을 희망적금 끝나자마자 바로 시작했다. 

이 적금이 끝나면 나도 어언 30대 중반이겠지. 그 때쯤이면 청년이 39세로 늘어나면 좋겠다. ^_^

 

월급 받고 절반 정도는 70만 원씩 도약계좌에 넣을 테고, 

나머지는 어떻게 하란 말인가. 정말 고민이었다.

greedy한 시장상황에 당장에 1300만원을 한 주식종목에 넣긴 위험하다고 판단했고, 예금으로만 묵혀두기엔 기회비용이 아까웠다.

 

 

시장분석

 

일단 시장분석부터 했다.

 

1.   금리상황은 미국 기준으로 최고점에 다다른 것 같다. 5.5% 이상은 안 넘을 것 같고, 곧 미국대선인데, 그전에 내리지 않을까 뇌피셜 예상해본다.

근데 그래프 보다보니 2020년~2022년 제로금리가 환상처럼 느껴진다. 이 때의 상승장을 기준으로 시장을 봐서는 안 되겠다. 과거는 과거일 뿐.

 

 

2.   장단기 금리차는 이미 마이너스이다.

10년 - 3개월 장단기 금리차

내가 배울 때 장단기 금리차가 역전되고 나서 경기침체가 온다 했다.

지금은 금리차가 회복 되려다 다시 내려간 모양이고, 2024년 2월 29일 기준으로 비트코인은 최고가를 기록했다.

음모론자는 아닌데 약간은 무섭다. 폭풍 전야이거나, 기존 경제이론 법칙을 깨는 것일텐데..

지금이 이불빨래 곰돌이도 버블버블한 상황은 아닐지, 아니면 정말 AI 혁명이 일어나서 대격변이 일어날지 아무도 모르는 것이긴 하다.

 

 

3.   자산 상관관계

사진은 따로 가져오지 않았지만 미국 주식과 한국 부동산이 높은 반비례 상관관계를 가진다고 한다.

지금은 알다시피 한국 부동산이 많이 하락했다.

미국 리츠와 S&P500도 마찬가지인데, 지금 리얼티인컴이 50달러 초반을 찍었고 S&P500도 최고점 돌파했다.

 

 

결론

 

그래서 내린 결론은 1300만 원을 현재 저렴한 미국장기채권, 미국리츠, 친환경 원자재 매집하는 데 쓰기로 했다.

연금 저축 계좌은 아직 작고 소중한데다, 퇴직하는 그날까지 적립식으로 매수할 계획이라 그대로 한국판 voo, schd로 간다. 

ISA랑 미국주식계에 있던 성장주는 비중을 줄이고, 많이 줄이고. 미국국채30년, tlt, o 를 분할 매수하기로 했다.

친환경 원자재는 처음 사보는데, 새마음 새뜻으로 시작하고 싶어 어제 새로 만든 토스증권 계좌에서 krbn을 사는 것으로 마음 먹었다. 

 

매수 종목

 

분류 종목 계획
ISA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  285주 2024.08.까지 적극 매수
ISA TIGER 미국나스닥 100  14주 STOP 
키움 O 30주 매수
키움 TLT  20주 매수
키움 SPLG  7주 STOP || 소량 매수
토스 TBRN  5주 일정 수량 매수
미래에셋 TIGER 미국S&P500  64주 무지성 매수
미래에셋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40주 무지성 매수

 

청개구리 심보로 내려간 자산들만 산다.

경기침체를 대비해 미국장기국채를 사고, 환율까지 내가 계산하기엔 뇌용량이 부족해서 환헷지 국내상장 ETF로 결정했다. 

TBRN은 컴퓨팅 자원 많이 소모하는 AI가 급부상하면 반대급부로 친환경 살피자는 목소리가 나올 수 있고, 트럼프 당선되면 더 내려갈거라 생각하지만, 인류가 그럼에도 고려해야하는 친환경 섹터 때문에 탄소 배출권 ETF 중 하나로 결정. 근데 더 리치에서 시가 배당률이 15%인데 오류인걸까.

 

 

떨어지는 칼날에 베이고 베여,

언제가 굳은살이 돋아 맨손으로 숯덩이 잡는 날이 오길 바라며 마무리

 

 

내 글을 보고 투자지표로 삼을 거라고 기대하는 것 조차 기우일 수 있겠지만

투자 판단은 알아서 하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