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리눅스 7

Xshell을 이용해 우분투(20.04) SSH 연결하기

1. tcp 포트 22번 연결을 허용 2. openssh-server 설치 3. Xshell 접속 4. 정상적으로 접속된 것 확인 1. tcp 포트 22번 연결을 허용 SSH서버를 구동하려면 방화벽부터 열어야 한다. root 권한으로 아래 명령어를 입력한다. # ufw allow 22/tcp 2. openssh-server 설치 # service sshd status 를 통해 sshd 서비스 상태를 확인해 봤고, 바로 openssh-server를 설치한다. # apt update # apt install openssh-server (다음엔 -y 옵션을 쓰자..) 그리고 다시 # service sshd status 를 해보면 active라고 뜨는 걸 확인할 수 있다. 정상적으로 설치된 것 같다. 3. Xs..

OPS 2022.02.25

시스템 정보를 표시하려면? <uname>

기본형식은 uname 이다. 옵션은 이렇게 있다. -a 모든정보 -r OS릴리즈번호 -v 커널컴파일 -m 머신타입 -p 프로세서 타입 명령어를 직접 쳐봤더니 단박에 이해가 간다. $ uname Linux $ uname -a Linux honeydew-virtual-machine 5.13.0-30-generic #33~20.04.1-Ubuntu SMP Mon Feb 7 14:25:10 UTC 2022 x86_64 x86_64 x86_64 GNU/Linux $ uname -n honeydew-virtual-machine $ uname -r 5.13.0-30-generic $ uname -v #33~20.04.1-Ubuntu SMP Mon Feb 7 14:25:10 UTC 2022 $ uname -m x86_..

OPS 2022.02.24

시스템 부팅하고 얼마나 오래됐는지 알아보는 <uptime>

지난 포스팅에서 로그인 이력을 표시하는 last 명령어에 대해 정리했는데, 오늘은 시스템 부팅하고 얼마나 오래됐는지 확인하는 명령어를 알아보려 한다. uptime 명령어는 옵션이 -p (가동시간만 표시)와 -s (시스템 시작한 시각만 표시)가 있다. $ uptime 23:13:01 up 9:14, 1 user, load average: 0.03, 0.03, 0.00 load average: 0.03, 0.03, 0.00 #1분, 5분, 15분간 평균부하 $ uptime -p up 9 hours, 17 minutes $ uptime -s 2022-02-23 13:58:07 해석해보자면, 23:13:01은 현재시각/ up 9:14은 가동시간/ 1 user은 로그인 사용자수를 뜻한다. 그리고 이게 뭐지 싶었던..

OPS 2022.02.24

로그인 이력을 표시 하려면? <last>

기본형식은 last 으로 구성된다. 옵션은 last -n 가 있고, 몇 행까지 표시할 것인지 나타낸다. 예시 : $ last honeydew honeydew :0 :0 Wed Feb 23 13:58 still logged in honeydew :0 :0 Fri Feb 18 08:07 - crash (5+05:50) honeydew :0 :0 Thu Feb 17 17:30 - 21:51 (04:21) $ last honeydew :0 :0 Wed Feb 23 13:58 still logged in reboot system boot 5.13.0-30-generi Wed Feb 23 13:58 still running honeydew :0 :0 Fri Feb 18 08:07 - crash (5+05:50) r..

OPS 2022.02.23

<df>와 <du> 정리

먼저 df와 du 명령어를 정리해봐야겠다. df는 마운트한 파일시스템 용량을 확인할 때 사용하고, du는 어떤 디렉토리가 디스크를 얼마나 사용하는지 확인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df 옵션 : -h 1024배수 -H 1000배수 df 예시 : $ df -h Filesystem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 udev 1.9G 0 1.9G 0% /dev tmpfs 389M 1.8M 388M 1% /run /dev/sda5 29G 9.0G 19G 33% / tmpfs 1.9G 0 1.9G 0% /dev/shm tmpfs 5.0M 0 5.0M 0% /run/lock tmpfs 1.9G 0 1.9G 0% /sys/fs/cgroup du 옵션 : -s 지정 디렉토리 이하 -a 파일마다 ..

OPS 2022.02.17

프로세스, 백그라운드, 포그라운드 간단 정리

프로세스 =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단위 동일한 프로그램을 실행해도 프로세스는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 스레드 = 병렬 처리를 효율적이고 빠르게 하려고 부모프로세스나 같은 프로세스끼리 자원 공유 데몬 = 늘 동작할 프로세스 crond, sshd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 상태를 보려면, ps 명령어를 사용한다. ps PID는 프로세스 ID를 말한다. 옵션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 a 모든 사용자의 프로세스 u 사용자명 같은 정보 x 제어터미널이 없는 프로세스(데몬) 표시 w 프로세스마다 표시하는 내용 늘림 l 상세정보 j 부모프로세스, 프로세스 그룹까지 m 스레드(병렬처리 효율적이고 빠르게 함, 자원 공유함) ttty tty터미널이 제어하는 프로세스만 표시 U 사용자가 실행한 프로세스만 표시 예시 : $ ps ..

OPS 2022.02.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