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Linux 3

[Linux] 리눅스 그룹 및 계정 생성

1. 그룹 생성 groupadd -g {GID} {그룹명} # groupadd -g 500 honey 1-1. 확인 # cat /etc/group honey:x:500: 2. 계정 생성 useradd -u {UID} -g {GID} -d {홈디렉토리경로} -m -s {base shell} -c " {코멘트} " {계정명} # useradd -u 1520 -g 500 -d /home/honey-m -s /bin/bash -c "Apache root fork user" honey 2-1. 확인 # cat /etc/passwd honey:x:520:500:Apache root fork user:/home/honey:/bin/bash

OPS 2024.04.12

[Linux] 홈디렉토리 삭제 후 SSH 접속이 안 될 때 조치 방법

홈디렉토리 삭제 후 SSH 접속이 안 될 때 조치 방법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사전에 확인할 것 Session Manager 이용이 불가한 환경에서 진행하시고, Session Manager 사용 가능하시다면 이걸 하세요 AMI 생성해서 서버를 새로 올리면 EIP가 있어도 프라이빗 IP가 바뀔 수 있기 때문에 깡통 서버를 만들어서 루트볼륨에 접근하는 방식을 이용하게 되었습니다. SSH 접속 불가 상황 origin 서버에서 ec2-user 홈디렉토리 권한을 변경해서 새로운 세션이 안 열리게 됩니다. TroubleShooting origin 서버를 중지한다 origin서버의 루트볼륨 분리한다. 이때 볼륨 경로 (예 : /dev/xvda) 를 잘 기억해둔다 tmp 서버를 임시로 생성한 후 분리한 origin ..

OPS 2023.02.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