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S

장애 발생을 전제로 아키텍팅

찻잔속청개구리 2022. 1. 18. 23:11
반응형

1. ELB를 사용해서 HTTP요청을 여러 가용영역에 있는 인스턴스로 배분한다.

2. 클라우드와치를 이용해 장애 발생 인스턴스를 미리 발견한다.

3. DB는 멀티AZ를 이용한다.

3-1. 메인 리전의 대규모 재해를 대비해 다른 리전에 백업 사이트를 설치한다.

3-2. 크로스 리전 읽기전용 복제본, 읽기전용 복제본의 마스터 승격 기능을 이용해 데이터를 자동으로 동기화하고,

메인 리전에 장애가 발생할 경우 백업 리전의 읽기전용 DB서버가 마스터가 되도록 한다.

4. S3 크로스 리전 복제기능으로 정적 콘텐츠를 저장하고, 백업 사이트에 데이터를 동기화 시킨다.

5. Route53을 이용해 메인 리전에 장애가 생기면 백업 리전으로 라우팅하도록한다.

 

참고자료 :

배워서 바로 쓰는 14가지 AWS구축 패턴

 

반응형

'O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git 설치  (0) 2022.01.18
S3와 EFS  (0) 2022.01.18
맴캐시드(Memcached) VS 레디스(Redis)  (0) 2022.01.18
EFS 요약  (0) 2022.01.17
AWS 몇 가지 서비스 정리  (0) 2022.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