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홈디렉토리 삭제 후 SSH 접속이 안 될 때 조치 방법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사전에 확인할 것
- Session Manager 이용이 불가한 환경에서 진행하시고, Session Manager 사용 가능하시다면 이걸 하세요
- AMI 생성해서 서버를 새로 올리면 EIP가 있어도 프라이빗 IP가 바뀔 수 있기 때문에 깡통 서버를 만들어서 루트볼륨에 접근하는 방식을 이용하게 되었습니다.
SSH 접속 불가 상황
origin 서버에서 ec2-user 홈디렉토리 권한을 변경해서 새로운 세션이 안 열리게 됩니다.
TroubleShooting
- origin 서버를 중지한다
- origin서버의 루트볼륨 분리한다. 이때 볼륨 경로 (예 : /dev/xvda) 를 잘 기억해둔다
- tmp 서버를 임시로 생성한 후 분리한 origin 볼륨을 연결한다
- tmp 서버에 접속해서 추가한 볼륨을 확인한다
- mnt 디렉토리를 만든 후 연결한 origin 볼륨을 마운트 한다
# mkdir /root/mnt
# mount -o nouuid /dev/xvdf1 /mnt
- /mnt/home/ec2-user 권한을 바꿔준다
- 마운트를 해제한다
# umount /dev/xvdf1 /mnt
- tmp 서버에 임시로 붙인 origin 서버 볼륨을 원복한다
- 이때 디바이스 이름은 볼륨 떼기 전에 기억해둔 /dev/xvda로 기입해야 한다
- origin 서버에서 정상적으로 접속되는 것 확인한다
홈디렉토리를 다루는 명령어를 쓸 때는 신중하도록 합시다. 특히 rm 또는 chmod 등은 크리티컬한 영향을 일으킵니다.
반응형
'O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상화란 (0) | 2023.02.28 |
---|---|
[AWS] VPC 피어링에 대해 정리 (0) | 2023.02.27 |
[AWS] WorkSpaces 패스워드 변경주기 변경 방법 (0) | 2023.02.25 |
Ubuntu 22버전 SSH 안 먹힐 때 sshd_config 파일 수정해보시길 (0) | 2023.02.21 |
[윈도우 OS] TreeSizeFree를 이용해 폴더별 디스크 사용량 확인하는법 (0) | 2023.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