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화 기술이란?
- 물리적 IT 리소스(CPU, Mem, Disk)를 가상의 IT 리소스(OS, 런타임과 같은 SW적 리소스)로 전환하고
- 가상화 기술을 활용해서 하나의 서버로 여러 실행 환경 구성하는 것
- 이로써 사용자 요청에 탄력적으로 리소스 제공
특징
1. 파티셔닝을 통해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2. 캡슐화를 통해 VM 관리와 이동을 용이하게 하며,
3. 격리를 통해 안정성과 보안을 강화하고,
4. 하드웨어 독립화를 통해 VM을 다양한 하드웨어에서 운영할 수 있게 해줍니다.
좀 더 상세히 말해볼게요.
1. 파티셔닝 (Partitioning)
먼저 파티셔닝은 물리적 하드웨어 자원을 여러 개의 독립된 가상 자원으로 나누는 것입니다.
즉, 하나의 물리적 서버를 여러 개의 가상 머신(VM)으로 분할하여 각각 독립된 운영 체제를 실행하고,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물리적 서버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서버의 유휴 시간을 줄이고 비용 절감 효과를 가져옵니다. 그리고 OS도 유연하게 사용하게 되는데요, 즉, 동일한 물리적 서버에서 서로 다른 운영 체제를 동시에 실행할 수 있게 해줍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서버에서 Linux와 Windows를 동시에 사용하는 것처럼 말이예요.
2. 캡슐화 (Encapsulation)
캡슐화는 가상 머신과 그 내부의 모든 구성 요소(운영 체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를 하나의 파일 또는 몇 개의 파일로 묶어두는 것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가상 머신을 손쉽게 복사, 이동, 백업할 수 있습니다. 가상 머신을 쉽게 이동하거나 복제할 수 있게 되면 데이터 센터 간의 애플리케이션 이전이 용이해집니다. 이덕분에 dev -> stg -> prd 등 여러 환경에 동일한 가상머신을 쉽게 배포할 수 있게 되죠. 그리고, 가상 머신이 독립된 파일로 존재하기 때문에 백업 및 복구가 용이하며, 특정 가상 머신의 스냅샷을 저장하여 필요 시 이전 상태로 복원할 수도 있습니다.
3. 격리 (Isolation)
격리는 각 가상 머신이 서로의 존재를 알지 못하도록 하여, 하나의 가상 머신에서 발생한 문제가 다른 가상 머신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가상 머신들은 서로 독립된 메모리와 CPU 자원을 사용하고, 보안적으로 격리되어 있죠. 그래서 한 가상머신의 장애가 다른 가상머신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되고, 보안적으로도 마찬가지입니다. 한 예로, 웹 서버가 실행 중인 가상 머신이 해킹을 당했을 때, 데이터베이스 서버가 실행 중인 다른 가상 머신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고,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답니다.
4. 하드웨어 독립화 (Hardware Independence)
하드웨어 독립화는 가상 머신이 특정 물리적 하드웨어에 종속되지 않게 만드는 것을 의미합니다.
가상 머신은 하이퍼바이저에 의해 가상 하드웨어를 제공받기 때문에, 물리적 서버의 종류와 관계없이 동일한 가상 환경에서 실행될 수 있습니다. 가상 머신을 특정 하드웨어에 의존하지 않고(맥, 삼성PC든 상관 없음) 다양한 하드웨어 환경에서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게 합니다. 가상 머신을 물리 서버 간에 쉽게 이동하거나 복제할 수 있어, 운영의 유연성이 높아집니다. 즉 맥에서 운영하던 가상 머신을 삼성 PC로 옮겨오는데 전혀 문제가 없는 것이죠.
'O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Teams Athenticator 안 될 때 (0) | 2024.09.06 |
---|---|
서버 가상화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4.09.03 |
SaaS, PaaS, FaaS, CaaS 모델 (2) | 2024.09.02 |
클라우드의 장점 : fat/thin 클라이언트 구분이 없음 (0) | 2024.09.02 |
[Control Tower] AWS VPC FlowLog 설정 in CT and LZ (0) | 2024.08.28 |